[개발일지] Unreal Engine 5에서 2D 게임 개발 세팅하기
- 날짜: 2024-10-11
- 분야: 게임 개발, 프로그래밍
- 태그: #CPP #UnrealEngine #Paper2D
학습 내용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ecxu6qp_ST0
Paper2D 라이브러리 임포트
- Unreal Engine 내 편집 > 프로젝트 세팅 > pixel per unit 기본 픽셀 0.33
- 2D 게임으로 세팅할 경우, 크기가 3D 세팅보다 다소 작기 때문에 비율을 조정하는 것
레벨 생성과 타일맵 세팅
- Unreal Engine에서는 씬을 레벨이라고 부름
- 빈 레벨을 생성하고 거기에 배경 타일맵 머티리얼을 추가하여 배경 제작 예정
- 타일 세팅
- 타일 스프라이트 오른쪽 클릭 > 스프라이트 액션 > 타일 세트 생성
- 타일 확인
- 에디터에서 타일 크기를 줄여보기(32 → 16)
- 드래그 해서 복수의 타일 선택 가능
- 타일 맵 생성
- 타일 세트를 만들고, 오른쪽 클릭해서 타일 맵 생성을 클릭
- 타일 맵 머티리얼을 더블클릭하여 들어오면, 타일 세트로 해당 맵을 꾸밀 수 있음
- 에디터에서 맵 너비와 높이 값(픽셀)을 수정하여 넓힐 수 있음
- 페인트를 클릭한 뒤, 타일 세트를 드래그로 선택하여 붙여 넣을 수 있음
- 타일 맵을 레벨에 붙여넣기
- 레벨에서 콘텐츠 드로워를 열어 타일맵을 그대로 가져다 붙임
캐릭터 스프라이트 추출과 구현
캐릭터 블루프린트 클래스 생성
- 새로운 폴더 Blueprints를 만든다
- 만든 곳에 새로운 Blueprint를 생성한다
- 2D 오브젝트를 관리하기 위한 블루프린트는 PaperCharacter
- 캡슐형 스프라이트를 선택하고 Idle 오브젝트를 걸어준다
- 캐릭터 스프라이트가 아닌, 블루프린트 클래스를 게임 화면에 올려준다
2D 오브젝트로 표현하기 위한 속성 값 수정
- 2D 게임처럼 레벨에 타일맵과 캐릭터를 올려두면, 레이어가 있어서 지금은 바닥에 두지 못하고 떨어진다.
- 그걸 피하기 위해서는 캐릭터와 타일맵의 트랜스폼 속성의 Y축 값을 0으로 지정한다.
새롭게 알게 된 점
- 플레이어 스타트 머티리얼을 구현했지만, 왜 사용해야 하는지 모름
- Unreal Engine에서는 레벨에서 타일맵을 띄워 플랫하게 연출하면 2D 게임이 됨
- 타일 맵 에디팅하는 방법과 엔진에서 적용하는 방법
추가 학습이 필요한 부분
- Unreal Engine에서 캐릭터 오브젝트를 입력을 통해 움직이게 하는 방법 모름
- 캐릭터 간의 충돌 이벤트 구현 방법
- 게임 내 플레이를 관장하는 매니저 스크립트 작성 방법
참고 자료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app=desktop&v=QVxK2dPJr4g\
'개발했수염 > 게임 개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개발일지] Against The Merciless - Unity 게임 씬 생성 및 연동 (1) | 2024.10.14 |
---|